2022년 6월 23일. 원/달러 환율이 13년만에 처음으로 1,300원을 넘어섰습니다.
이날 오전 9시 52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어제와 비교하여 소폭 상승한 1,300.77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

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.7원 오른 1,299.0원에 출발한지 약 10분 뒤에 1,300원을 돌파했습니다.
원달러 환율이 장중 1,300원을 돌파한 것은 2009년 7월 14일(고가 기준 1,303.0원) 이후 약 13개월만에 처음입니다.
간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(FED)의 제롬 파월(Jerome Hayden Powell)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것으로 보입니다.
제롬 파월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하여 "향후 몇 달간 인플레이션(물가 상승)이 2%로 돌아가는 강력한 증거를 찾을 것"이라고 말하면서 "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"고 밝혔습니다.
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뉴욕증시에서 3대 지수가 모두 소폭 하락한 채 마감했습니다.
환율이 오르면 달러의 가치가 상승했으니 달러를 보유한 사람이 이익을 보게 됩니다. 달러를 사용하여 더 많은 물건과 자산을 살 수 있습니다. 가령, 주식이나 부동산을 전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습니다.
수출 기업들의 경쟁력도 높아지게 됩니다. 1달러의 가치가 1200원에서 1300원으로 상승하면 달러화로 판매하는 수출품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그만큼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. 수출이 늘어나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면 기업은 더 많은 종업원을 고용하고, 사람들의 경제 사정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.
하지만 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또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우리나라 돈으로 살 수 있는 외국 물건이 줄어든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. 이 때문에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고, 수입품의 가격도 올라서 서민 생계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댓글 남기기